본문 바로가기

상한가 종목 분석

한국판 뉴딜 정책 시장의 영향은?

코스피가 좀처럼 올라가지 못하고 횡보하고 있습니다. 2020년 5월 7일 코스피는 지겨운 파도 속에 소폭 하락한 1928.61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상승과 하락의 곡선 상황을 살펴보면 매도 새력과 매수세력이 동등하게 밀고 당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코스피는 6.76 포인트 하락 출발했는데요. 장 초반에는 기관을 중심으로 한 매도세에 밀려 1910선까지도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다행히 이후에 반등에 성공해 장중 1940을 아슬아슬하게 웃돌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외국인이 문제였습니다. 외국인은 오후가 될수록 매도 물량을 늘려서 또다시 하락 반전, 0.01%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의 영향을 받아 하락 출발했지만, 기재부가 한국판 뉴딜 추진 방향을 발표한 데 힘입어 코스닥이 강세를 보이자 함께 상승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상승하려는 힘은 부족한 상황이라, 맥없이 다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언제쯤이 되어야 2000포인트를 보게 될 날이 올까요? 어느덧 뒤돌아보면 2400포인트 3000포인트가 되어있는 코스피를 기대해 봅니다.

 

미중 무역갈등은 언제쯤이 되어야 잠잠해 지는 걸까요?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포스트 코로나가 두각 되면서 다시금 떠오르고 있습니다. 지난 세월 이 무역갈등 때문에 우리나라 코스피가 얼마나 출렁거렸는지 생각해보면 벌써부터 걱정이 앞섭니다.

 

하지만 지금이 코스피가 더블 딥으로 빠지지 않고 이나마 유지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에 대한 신뢰가 꽤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 이후 빠르게 주식이 성장할 가능성은 크게 보지 않고 있는 현실입니다. 아시아 증시는 최근 혼조세가 그치질 않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중국 역시 크게 상승 모멘텀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는 어떻게 흘러갈까요? 지금과는 정말 다른 세상이 펼쳐질 것 같아서 걱정이 됩니다. 

 

다만 이렇게 크게 흔들리는 주식 가운데, 회복 속도가 빠른 주식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른바 50만원이 넘는 귀족주인데요. 대표적으로 lg 생활건강이 있습니다. 

 

현재 주당 50만원을 넘는 고가 주식은 총 7개인데요.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가격이 높은 주식은 lg생활건강인데, 종가 138만 1000원을 기록했습니다. 태광산업, 엘지 생활건강 우, 엔씨소프트, 삼성 바이오로직스, 오뚝이, 영풍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격이 비싸서 파는 힘과 구매하는 힘이 적어서 크게 많이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삼바라고 불리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40만 원대에서 현재 50만 원 선을 넘었습니다. 한때 상장폐지를 걱정했던 삼성 바이오로직스였는데, 상황이 많이 달라졌죠?

 

5월 주식 상황역시 크게 달라지지 않은 채 횡보 중입니다. 모두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