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분석

[주식 용어정리] 시가배당률! 도대체 어떻게 계산하지?

주변에서 다들 주식해서 돈 벌었다고 하니, 관심은 생기는데 도대체 어려운 용어가 많은 것 같아서 어렵죠?

시가배당률? 배당수익률? 비슷하지만 다른 주식 용어!! 한 번에 차곡차곡 알아봅시다.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봅시다.  

시가배당률의 사전적 정의는 배당금이 배당 기준일 주가의 몇% 인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배당"이란 용어를 한번 정리해보고 갈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이란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해 발생한 이익 중 일부를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을 말합니다. 

 

자, 그럼 배당률(dividend rate)은 1주당 액면금액에 대하여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로서 배당금을 액면가로 나눈 값이며 배당 수익률은 투자자금에 대하여 배당금이 어느 정도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입니다. 

 

말이 어렵죠?

 

  자 그럼 예를 들어봅시다.  

 

가장 훌륭한 예는 역시 삼성전자 주식이겠죠.

삼성전자는 최근 8만 원대에 갇혀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2021년 4월 6일 기준으로 살펴봅시다.

삼성전자 주가흐름

삼성전자의 기준가는 86,000원이네요. 그렇다면 배당 수익률은 어떠게 될까요?

 

배당수익률 계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오늘"이라는 기준입니다.

오늘 기준으로 삼성전자를 구매하게 되면 받게 될 배당금은 얼마인가?

그것이 바로 배당수익률입니다.

  계산법  

 배당 수익률 기준으로 따져보면 약 2,993원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백분율로 보자면 3.48%입니다.

다만 실제로 이 금액을 완벽하게 받는 것은 아닙니다. 세금도 떼어가고요.. 

 

게다가 이 기준은 작년에 받았던 금액을 올해 똑같이 지급했을 경우!라는 조건이 붙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분기별 배당이 진행되기 때문에 4월 6일 구매했을 경우에는 조금 다른 배당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정말 복잡하죠?   

  자 그렇다면 시가배당률은 무엇일까요?  

시가배당률은 현재 가격으로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당기준일 당시의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같은 말이 반복되어서 어려워 보이지만 아주 간단합니다.

 

배당수익률은 현재 기준에서 계산

시가배당률은 배당기준일 기준

 

간단하게 차이점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꼭 알고 가면 좋을 주식 정보

단타 기술 스켈핑

주식 투자 기법 스켈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