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정보

세상의 성공한 타이탄들의 도구를 훔쳐보자.

타이탄의 도구들

 

인생을 바꾸는 클리셰를 찾아라

 

셰이 칼은 27살에 처음 컴퓨터가 생겼다. 노동자였던 그는 화강암 싱크대 상판 작업을 하는 틈틈이 유튜브에 자신의 가족과 일상의 신변잡기들을 영상으로 찍어 올렸는데, 글자 그대로 대박이 났다. 그의 유튜브 채널 shaytards 느 지금껏 총 25억 건의 조회수를 돌파했다.

 

그뿐 아니다. 그는 유튜브에서 성공한 자신의 노하우를 사업화했다. 친구들과 힘을 합쳐 메이커 스튜디오라는 회사를 창업했는데, 수익 모델은 개인 창작자들에게 교육 프로그램, 촬영 스튜디오, 홍보, 광고영업 등을 지원해주고 그 대신 창작자의 수익 일부를 수수료로 받는 것이었다. 2014년 메이커 스튜디오는 원트 디즈니에 약 10억 달러에 팔렸다.

 

셰이 칼이라는 사람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유튜브에 자신의 신변잡기 영상을 올렸다기 보다는 그저 재미 삼아 올렸을 경우가 높다. 인생은 한 치 앞도 예측할 수 없다는 말이 바로 셰이 칼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인생의 비밀은 클리셰에 숨어있다. 5명의 아이를 키우는 평범한 30대 가장이 어떻게 이런 엄청난 성공을 거둘 수 있었을까? 셰이는 45킬로그램의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자전거를 타던 날을 떠올린다. "장소가 어디였는지 정확하기 기억난다. 문득 '인생의 비밀은 클리셰라는 단어 뒤에 숨어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많이 들어 평범하고 진부해진, 그런 곳에 진리가 숨 쉬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인생이 바뀐 것 같다. 우리는 채소를 많이 먹으라는 얘기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지 않는가? 그런데 진짜 채소를 많이 먹어야 건강하게 장수하지 않는가! 나는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클리셰의 힘에 새롭게 주목했고, 그게 성공의 비결의 전부다.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다. 성공하고 싶다면,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뻔하다는 이유로 무시하고 등한시했던 클리셰들을 찾도록 하자. 그 중 시험 가능한 행동을 취해보는 것이 어떻겠는가? 당장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찾아뵙도록 하자.

 

이 책은 이러한 사례의 사람들을 수십 수백명씩 인터뷰하여 그들의 성공 비결에 대해 묻는다.

 

2008년 7명의 친구에게 매주 한 통의 이메일을 보냈던 여성이 있다. 2016년 현재 그녀는 매주 수백만 명에게 이메일을 보낸다. 바로 브레인파 킹스의 편집장 마리아 포포바다. 그녀의 이메일은 삶의 따뜻한 행복과 사랑 가치를 탐구한다. 거의 매일 한 권의 책을 읽는 마리아 포포바는 우리가 기억할 가치가 있는, 오래되고 영원한 지혜를 전한다. 그녀의 결과물은 눈부심 그 자체다. 매주 그녀의 글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인생이 바뀌는 많은 사람들이 생겨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 책에서는 수많은 타이탄들이 등장한다. 저자는 성공한 사람들을 타이탄이라고 지칭하고 그들을 성공에 이르게 한 도구, 즉 타이탄의 도구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그리고 공통점을 찾아내려고 애쓴다.

 

이 책에서 내가 타이탄이라고 소개하는 인물들은 지금 이 세상에서 가장 부유하고 지혜롭고 건강한 사람들이다. 이 책을 구매한 당신은 어떻게든 하나라도 더 당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그들의 공통점을 찾으려 할 것이다. 그렇다, 그래야만 한다. 타이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남다른 습관들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내용은 바로 이 책의 핵심을 담고 있다.

 

그들 중 80퍼센트 이상이 매일 가벼운 명상을 한다.

45세 이상의 남성 타이탄들은 대부분 아침을 굶거나 아주 조금 먹는다.

많은 타이탄들이 잠자리에서 특별한 메트를 애용한다. 바로 칠리패드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찰스 멍거의 불쌍한 찰리 이야기, 로버트 치알 다니의 설득의 심리학,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를 다른 책들보다 훨씬 더 칭찬하고 더 많이 인용한다.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는 창의적인 작업 때마다 반복해서 틀어놓는 노래 한곡, 앨범 하나를 갖고 있다.

거의 모든 타이탄이 오직 스스로의 힘으로 많은 고객과 클라이언트를 사로잡은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성 경험을 갖고 있다. 

그들은 모두 실패는 오래가지 않는다는 확고한 믿음을 갖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자신의 분명한 약점들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커다란 경쟁력 있는 기회로 바꿔냈다.